관절내시경
최고의 의료시스템과 최상의 서비스로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합니다.
-
관절 내시경의 정의
- 어깨나 무릎 등 해당부위에 2~5mm 정도의 작은 구멍을 2~4군데 뚫어 관절 내 연골이나 인대 파열, 염증 진행 정도, 뼈의 마모 정도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가늘고 긴 기구로, 끝 부분에 초소형 고감도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어 관절 내부의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 관절 내시경의 도입으로 관절 질환의 조기 발견이 가능해져 큰 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많이 줄어 들고, 관절의 미세한 부분까지 자세히 보면서 동시에 절제나 봉합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관절 내시경수술의 특징 및 장점
- 관절 안을 직접 들여다보고 확인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 커다란 모니터에 병변이 확대되고 작은 기구로 수술을 할 수 있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 수술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mm크기의 구멍 2개 정도로 수술이 가능합니다.
- 전신 마취 뿐만 아니라 국소 마취로도 가능합니다.
- 수술 후 통증이 적습니다.
- 흉터가 거의 없습니다.
- 합병증이 거의 없습니다.
-
무릎 관절 반월상 연골판 파열
-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주요부위에서 0.5cm이상의 크기로 있는 경우
- 0.5cm이하의 파열은 비수술적인 치료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반월상 연골의 치유를 위해서는 관절 외측에서부터의 혈액공급이 필요합니다.
- 파열부위가 관절외측에서 4mm이내의 곳인 경우 3cm의 파열까지 관절 내시경 봉합술에 의해 치유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파열부위가 관절외측에서 4mm를 넘는 경우는 봉합에 의해 치유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반월상 연골의 성형술이 필요합니다.
- 비수술적인 치료에 의해 호전되지 않는 슬개골 연골연화증에서 연골퇴행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연골의 관절면을 성형해 주면 통증의 감소와 관절운동 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관절 내부에 뼈나 연골 조각이 있어 관절운동을 방해하거나,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해 병변을 확인하고 관절내 유리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약물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관절염의 진행에 따른 무릎관절 내 구조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내시경 기구를 통해 활액막절제술, 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 비정상적인 관절 내 조직의 제거와 같은 시술을 함으로서 증상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 연골 손상
- 미세 천공술 - 연골 손상 부위가 2㎠ 이하일 때
- 연골 손상 부위가 2㎠ 이하일 때 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연골 밑에 있는 뼈에 미세한 구멍을 뚫고 그곳에서 나온 혈액 성분은 연골로 분화시켜 손상된 부위를 덮는 방식입니다.
- 수술 방식은 간단하지만, 원래의 연골이 아닌 섬유성 연골로 재생되기 때문에 정상 연골의 60% 정도만 재생되고, 특히 수술 후 주의가 필요하며 재활치료가 중요합니다.
- 연골 손상 부위가 적을 때만 적용되며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자가골 연골 이식술 - 연골 손상 부위가 5㎠ 이하일 때
- 건강한 무릎 연골 중 체중 부하를 받지 않는 연골을 떼어내 손상된 연골을 복원시키는 방법으로, 뼈와 연골을 함께 채취해 손상된 부위에 이식하는 전형적인 연골 이식 수술방법입니다.
-
- 경한 파열일 경우 보존적 치료, 즉 약물이나 물리 치료만 해도 좋아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십자 인대 파열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십자 인대 봉합술
- 십자인대의 부착부가 떨어져 나간 경우 나사를 골에 고정한 후 파열 부위를 그대로 봉합할 수 있으나 찢겨 가늘게 된 경우에 봉합이 불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견열 손상 : cruciate ligament avulsion injury) 부분파열로 완전복원이 되면 합병증이 없으나, 완전파열의 경우 동요관절이나 관절운동 제한이 올 수 있게 되므로 반드시 수술적 가료가 필요합니다.
- 그림1) 후방십자 인대 견열 손상되어 골절 소견이 보이는 CT 소견
- 그림2) 후방십자 인대 견열 손상되어 골절로 인한 후방십자 인대가 늘어난 MRI 소견
- 그림3) 견열된 골절에 대해 금속 나사로 고정하는 수술 후 치료된 X-ray 소견
십자 인대 재건술
- 일반적으로 십자 인대는 우리 몸에서 가장 강한 인대 중 하나이므로 봉합술로는 치료가 되지 않고 대부분 재건 수술 (ligament reconstrucion)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십자 인대 재건 수술을 시행할 때 필요한 인대는 주로 동종건이나 자가건을 이용한 재건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특히 본원에서는 전방 십자인대 재건수술을 시행할 경우 남아있는 원래의 십자인대를 최대한 보존하여 수술하며 이렇게 십자인대 재건수술을 할 경우 일반적인 십자인대 재건수술보다 훨씬 좋은 임상 결과를 나타낸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ligament salvage procedure)
- 그림1) 파열된 전방십자 인대 관절경 사진
- 그림2) 동종건을 이식하여 재건된 전방십자인대와 파열된 원래의 전방십자 인대를 살려서 재건된 십자인대에 봉합하여 수술한 관절경 사진
- 그림3) 6개월 후 2차 관절경 사진 : 잘 치유된 전방십자 인대
- 특히 본원에서는 동반된 측부 인대 손상이나 연골판 손상이 있는 경우도 십자 인대 재건술과 동시에 시행하여 여러 번 수술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시키고 있습니다.
- 그림1) 전방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관절경 사진
- 그림2) 파열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 대해 Fastfix를 이용하여 봉합한 관절경 사진
- 그림3) 6개월 후 2차 관절경 사진 : 잘 치유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
Mega Cartilage
- 십자인대의 부착부가 떨어져 나간 경우 나사를 골에 고정한 후 파열 부위를 그대로 봉합할 수 있으나 찢겨 가늘게 된 경우에 봉합이 불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견열 손상 : cruciate ligament avulsion injury) 부분파열로 완전복원이 되면 합병증이 없으나, 완전파열의 경우 동요관절이나 관절운동 제한이 올 수 있게 됨으로 반드시 수술적 가료가 필요합니다.
- Catilage defects 부위에 간단한 주사요법으로 Catilage를 직접 주입하여 주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고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며, 수술부위절개를 최소화한 최소침습수술법으로 환자들에게도 안전할 뿐 아니라 피부절개 부위가 작아 흉터와 주변조직에 대한 손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Mega Cartilage의 장점
- 연골 손상 치료 및 이식재로 높은 생착률과 기능복원성을 가짐
- 복잡한 수술없이 치료가 가능함.
- 1회의 시술로 골연골 손상(osteochondral defect)의 치료가 가능함.
- 자가연골을 채취하기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없음.
- 국내 조직 제품으로 수요 대체가 가능
- 국내기술로 제작되고, 이식재의 엄격한 추적관리가 가능함.
CARTIFILL (cartilage supplement)
- 스포츠 외상과 골 관절염에 의한 무릎 연골 손상을 복구시켜주는 다양한 수술적 방법이 있다. 세포 회복 기전을 유도하는 다양한 골수자극술, 즉 미세골절술, 천공술, 관절치환술 등이 현재 연골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골수자극술은 골수로 부터 줄기세포를 빼내어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골수자극술을 예상했던 것보다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골수에서 나온 세포들이 관절에서 떨어져 나간다거나 관절 액에 의해 분리가 되어, 결과적으로 손상된 부위에 극소수의 세포만 남아 연골재생을 위해 남아있는 세포가 충분하지가 않기 때문이다.
- CartiFill™ 골수 자극술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준다.
- CartiFill™ 골수 자극술에 있어서 선진 기술이다. (미세골절술, 다발성 천골술 등)
- CartiFill™ 잘 정제된 아텔로콜라겐과 피브린 글루를 이용하여 이식을 하는 것으로 안정된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한다.
- CARTIFILL의 장점
- 간단한 사용법
- 세포 보호 효과: 골수로 부터 나온 세포 이동을 최소화하거나 막음.
- 세포의 생성, 전도 및 생존율 향상
- 안정된 연골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