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SCROLL TO TOP

관절센터

오랜 경험을 통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치료의 시작입니다.
최적의 치료는 오랜 경험을 가진 한미병원의 전문의와 함께!

관절질환의 예방과 진단

최고의 의료시스템과 최상의 서비스로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합니다.

  • 관절 질환의 원인

    • 퇴행성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질환, 골관절염이라고 불려지며 국소적인 관절에 점진적인 관절연골의 소실 및 그와 관련된 2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입니다.
    • 특별한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과 외상 질병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분류합니다.

    관절질환의 증상

    • 가장 흔하고 초기에 호소하는 증상은 관절염이 발생한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입니다.
    • 전신적인 증상은 없는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과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 초기에는 해당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한 양상을 보이다가 병이 진행되면 움직임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 관절운동 범위의 감소, 종창(부종), 관절 주위의 압통, 관절면의 불규칙해지면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되며 간혹 증상이 좋아졌다가 나빠지는 간헐적인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관절염의 발생 부위에 따른 특징적인 증상

    • 무릎관절: 관절모양의 변형과 함께 걸음걸이에 이상
    • 엉덩이 관절: 자세이상
    • 손의 관절염: 손가락 끝마디에 골극( 가시같은 모양으로 덧 자라난 뼈) 형

  • 관절 질환의 검사와 진단

    • 초기 증상이 있을 때 정확히 진단해야 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환자의 자세한 병력을 분석하고 이학적 검사 및 방사선 소견에서 보이는 관절의 여러 가지 변화와 퇴행성 관절염의 특징적인 소견을 종합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합니다.
    • 나이가 많은 사람은 어느 정도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므로 모든 다른 질환을 제외시킴으로써 퇴행성 관절염의 추정 진단이 가능해집니다.
    • 확진은 이후 관절내시경이나 수술 등을 통하여 퇴행성 변화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가능해집니다.

    방사선 사진 (X-ray)

    • 가장 기초적인 검사로 무릎관절염의 상태를 일차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 방사선학적 변화가 있을 경우 무릎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X-ray상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해서 무릎이 정상이란 얘기는 아닙니다.
    • 무릎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 경우 정밀검사 (MRI. 관절내시경 검사)가 필요합니다.

    관절질환의 예방

    자기 공명영상(MRI)

    • 무릎의 인대 손상 및 연골판 손상이 있을 경우 유용합니다.
    • 촬영하는데 통증은 없으나 가격이 비싸고 무릎 안의 연골상태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손의 관절염: 손가락 끝마디에 골극( 가시같은 모양으로 덧 자라난 뼈) 형
      MRI만으로 판독이 힘든 경우
    • 연골(물렁뼈)의 손상정도 - 깊이, 넓이
    • 연골판 후각부의 파열
    • 내측 추벽 (병적)
    • 활액막 상태 - 감염
    • 십자인대 파열 정도 - 50%이상에서 재건술

    관절내시경 검사

    • 무릎관절에 소형카메라를 사용, 관절 속을 확대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직접 모니터로 관절 내부의 모습을 보면서 시행합니다.
    • MRI에 비해 무릎의 연골상태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환자 및 보호자가 환자의 무릎 내부를 직접 보면서 설명을 듣기 때문에 무릎 관절의 상태를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 검사

  • 관절질환의 예방

    • 가사활동: 쪼그려 앉거나, 엎드려 하거나, 바닥에 앉아 하는 일
    • 직장생활: 한 자세로 오래하는 활동. 특히 오래 서 있는 일
    • 스포츠 활동: 준비운동 없이 갑자기 진행하는 과격한 운동
    • 기타 생활습관: 오리걸음, 토끼뜀, 하이힐, 가부좌 자세(요가), 비만 등

    관절질환의 예방

    관절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 수중운동: 물속에서 걷기, 수영
    • 고정식 자전거 (헬스기구)
    • 걷기: 평지산책, 혹은 러닝머신에서 걷기
    • 스트레칭 체조

    관절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